반응형
관리 메뉴

sweetonion1 님의 블로그

투자 일지, 어떻게 써야 하나요? 본문

카테고리 없음

투자 일지, 어떻게 써야 하나요?

sweetonion1 2025. 4. 18. 14:37
반응형

초보 투자자도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한 기록법

“기록이 실력을 만든다.”
많이 들어본 말이죠.
주식 투자에서도 이 말은 그대로 적용됩니다.

투자 일지를 쓰기 전과 후, 가장 큰 차이는 ‘내가 왜 이 종목을 샀고, 왜 팔았는지’를 명확하게 말할 수 있느냐입니다.
처음엔 조금 번거로워도, 기록은 반드시 ‘내 기준을 강화시켜 주는 도구’가 되어줍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부담 없이 쓸 수 있는 투자 일지 작성법과 실천 팁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 왜 투자 일지를 써야 할까요?

처음 주식을 시작하면, 매수·매도는 감정적으로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왜 샀더라?”, “그때 왜 팔았지?” 같은 생각이 들기 마련이죠.

기록이 없다면, 성공해도 복기할 수 없고 실패해도 원인을 찾을 수 없습니다.

 

투자 일지는 ‘내가 세운 기준이 실제로 잘 작동했는지’를 확인하는 도구입니다.
기록이 쌓이면 나만의 투자 성향, 실수 패턴, 성공 전략이 보이기 시작하죠.
그리고 무엇보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판단력을 키워주는 연습이 됩니다.


🗂️ 어떤 형식으로 써야 할까요?

딱딱한 보고서처럼 쓸 필요는 없어요.
핵심은 ‘꾸준히 쓸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아래는 투자 일지에 꼭 들어가야 할 기본 항목이에요:

  항목                                              작성 예시
종목명 삼성전자
매수일 / 매도가 2024.04.01 / 2024.05.15
매수가 / 매도가 65,000원 / 72,000원
수익률 +10.7%
매수 이유 PER 낮고,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
매도 이유 목표 수익률 달성, 금리 인상 우려
복기 메모 단기 이익은 얻었지만, 매도 타이밍 아쉬움 있음

이 외에도 ‘뉴스 이슈’, ‘기업 실적 발표 전후 변화’ 같은 항목을 추가하면 더 깊이 있는 복기가 가능해요.


✍️ 실전 루틴 – 이렇게 쓰면 꾸준해져요

매수/매도 직후, 5분 안에 간단히 메모하세요.
→ 가장 솔직하고 정확한 판단 이유가 떠오를 때 기록해야, 나중에 복기할 때도 실수가 보입니다.

 

복기 날짜를 정해두세요.
예를 들어 매주 금요일 저녁에 ‘이번 주 투자 일지’라는 이름으로 정리하는 루틴을 만들면 좋습니다.
스스로 만든 루틴은 나중에 '내 투자력'으로 돌아옵니다.

 

엑셀, 구글 시트, 노션 중 편한 도구를 고르세요.
툴은 중요하지 않아요.
꾸준히 쓸 수 있는 방식이면 충분합니다.

투자_일지_기록_양식.xlsx
0.01MB


🧭 마무리 한마디

투자 일지는 내 머릿속을 밖으로 꺼내주는 도구입니다.
막연했던 매매가 점점 ‘기준 있는 투자’로 바뀌고, 감정적인 판단도 줄어들게 되죠.

기록은 단순한 정리가 아니라, 나의 판단을 객관화시키고, 다음 기회를 더 정확히 잡을 수 있게 하는 도구입니다.

 

오늘부터 단 한 줄이라도 써보세요.
"왜 샀는지", "어떤 기준으로 결정했는지."
그 작은 기록 하나가 내일의 더 나은 선택을 만들어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