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eetonion1 님의 블로그
투자 초보도 알 수 있는 ISA + CMA 투자 루틴 완성판 본문

— 세금 줄이고, 돈이 쉬지 않게 굴리는 시스템 만들기
처음 투자 시작하면 이런 말이 낯설죠.
“ISA는 절세용 통장이고, CMA는 이자 통장이래.”
하지만 오늘 이 글을 끝까지 보면
👉 세금 아끼고, 복리로 굴리고, 돈이 잠들지 않게 하는 방법 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1️⃣ ISA란?
👉 세금을 아껴주는 똑똑한 투자 통장이에요.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줄임말이에요.
이 통장 안에서는 투자 수익의 일부가 비과세되고, 세금을 내더라도 9.9%로 낮게 고정돼요.
| 비과세 한도 | 수익 200~400만 원까지 0원 세금 |
| 초과분 세율 | 9.9% 분리과세 (일반 투자세율의 절반 수준) |
| 가능 투자상품 | 국내 ETF, 채권, 예금, 펀드 등 |
쉽게 말하면 “투자 수익에 세금을 거의 안 내게 해주는 절세용 통장”이에요.
2️⃣ CMA란?
👉 이자가 자동으로 붙는 현금 통장이에요.
CMA(Cash Management Account)는 증권사의 입출금 통장인데,
입금만 해도 자동으로 단기금융상품(RP, 발행어음 등)에 투자되어 매일 이자가 계산돼요.
| RP형 | 매달 말 이자 지급 | 약 3.4% |
| 발행어음형 | 매일 이자 계산 | 약 4.0% |
| MMF형 | 수시반영 | 약 3.5% 내외 |
즉, 돈이 잠들지 않고 매일 일하는 통장이에요.
3️⃣ ISA중개형 계좌 = ISA + CMA 합체형
흔히 우리가 말하는(또 제가 낮에 만든) “ISA중개형 계좌”는
사실 ISA와 CMA가 결합된 통장이에요.
즉, ISA중개형 계좌에 돈을 넣으면 = CMA에도 자동으로 들어간 거예요.
✔ 입금 즉시 이자 계산 시작
✔ ETF 매수 시 CMA에서 자동 출금
✔ 남은 돈은 다시 이자 발생
👉 따로 송금할 필요 없이 한 통장 안에서 투자와 이자가 동시에 돌아가요.
4️⃣ 실제 돈의 흐름 (루틴형 예시)
| ① | 월급일 후 ISA중개형 계좌로 일정 금액 입금 |
| ② | 평일(9:00~15:30) 중 ETF 매수 (예: KODEX 미국S&P500) |
| ③ | 매수 후 남은 금액은 CMA로 자동 예치되어 이자 발생 |
| ④ | ETF 매도 시 매도대금이 다시 CMA로 돌아와 복리로 굴러감 |
한 번 입금해두면 투자, 이자, 절세가 모두 자동으로 순환되는 구조예요.
5️⃣ 지금(달러 1,400원대)은 ISA 중심이 정답
지금 환율이 1달러 ≈ 1,400원 수준이에요.
이럴 때는 굳이 달러로 미국 ETF(VOO, SCHD)를 사기보다는
🇰🇷 ISA로 국내 상장 미국 ETF (KODEX, TIGER 시리즈) 를 사는 게 훨씬 좋아요.
| ✅ 절세효과 | 수익의 대부분 비과세 |
| ✅ 환율리스크 없음 | 원화로 거래 |
| ✅ 복리효과 + 이자 | CMA 이자까지 챙김 |
| ✅ 단순함 | 송금, 환전 불필요 |
달러가 비쌀 땐 ISA 국내 ETF,
달러가 떨어질 땐 해외 ETF — 이게 현명한 순서예요.
6️⃣ 양파의 추천 비율 (2025년 10월 기준)
| ISA (국내 ETF) | 70% | KODEX 미국S&P500, TIGER 미국배당성장 | 절세+복리 중심 |
| CMA 대기자금 | 20% | 발행어음형 CMA | 매일 이자 발생 |
| 해외 ETF (VOO·SCHD) | 10% | 달러분산용 | 환율 하락 시 분할매수 |
“ISA는 세금 줄이는 중심,
CMA는 돈이 쉬지 않게 하는 중간기착지,
ETF는 복리로 불려주는 엔진이에요.”
이 세 가지를 연결하면
매달 100만 원 투자로도 10년, 20년 뒤 돈이 알아서 일하는 구조가 완성돼요.
초보라도 구조를 이해하면 더 이상 ‘투자 운’에 흔들리지 않아요.
오늘의 저처럼요^^
'ETF & 주식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SA 계좌로 주식 사는 법 + 자동매수 설정 완전정복 (0) | 2025.11.03 |
|---|---|
| ISA 포트폴리오 구성법 – 어떤 주식을 사고 비율은 어떻게 나눌까? (0) | 2025.10.24 |
| ISA 계좌 송금부터 주식 매수까지 – 초보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0) | 2025.10.23 |
| 코스피 흔들릴 때, 삼성전자 주식은 안전할까? (1) | 2025.09.23 |
| 연금저축ETF, 절세와 노후 준비를 동시에 잡는 법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