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리 메뉴

sweetonion1 님의 블로그

ISA 포트폴리오 구성법 – 어떤 주식을 사고 비율은 어떻게 나눌까? 본문

ETF & 주식 관리

ISA 포트폴리오 구성법 – 어떤 주식을 사고 비율은 어떻게 나눌까?

sweetonion1 2025. 10. 24. 10:21
반응형

💡 ISA, 이제는 ‘무엇을 살까’의 단계

ISA 계좌를 만들고 송금까지 마쳤다면 이제 진짜 투자의 핵심,
‘무엇을, 얼마만큼 살 것인가’를 결정할 차례예요.

 

ISA의 가장 큰 장점은 절세뿐 아니라
여러 종목을 섞어 분산투자(포트폴리오)를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즉, “한 종목에 올인하는 대신 여러 바구니에 나눠 담는 투자법”이 바로 ISA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길입니다.

 


1️⃣ ISA의 핵심은 “비율”이다

많은 투자 초보자들이 “어떤 종목이 오를까?”에 집중하지만,
진짜 수익을 좌우하는 건 비율이에요.

 

예를 들어, 같은 종목을 사더라도

  • 100% 한 종목 투자 = 위험도 ↑
  • 3~4개 종목에 나눠 투자 = 위험 분산 + 수익 안정

ISA는 장기 계좌이기 때문에 “꾸준히 + 비율 유지”가 수익률을 만들어냅니다.


2️⃣ 투자 성향별 포트폴리오 예시

 투자 성향      구성 비율                                                           주요 ETF 예시                           특징
안정형 국내지수 60% + 배당 40% KODEX 200 / TIGER 배당성장 시장 평균 수익 + 안정적 현금흐름
균형형 미국지수 50% + 국내지수 30% + 배당 20% SCHD / VOO / KODEX 200 글로벌 분산 + 안정
성장형 미국기술주 50% + 글로벌분산 30% + 배당 20% SOL 나스닥100 / VT / JEPI 성장성 중심 + 안정성 보완

💡 TIP: ETF 3개면 충분해요.
“너무 많으면 관리가 어렵고, 너무 적으면 위험이 커집니다.”

 


3️⃣ ETF 중심으로 구성하는 이유

ISA에서는 개별 주식보다 ETF 중심이 훨씬 유리해요.

① 절세 효과: ETF 간 매매 시 과세가 이연됨
② 분산 효과: 하나의 ETF가 수십~수백 종목을 포함
③ 복리 효과: 배당을 재투자하면 장기적으로 수익률 상승

 

예를 들어,

  • 국내 ETF: KODEX 200, TIGER 코스피100
  • 해외 ETF: VOO, VT, SCHD
  • 섹터 ETF: KINDEX AI테크, TIGER 2차전지
  • 배당 ETF: KOSEF 고배당, JEPI

👉 ISA에선 이런 ETF를 조합해서 꾸준히 사는 게 핵심이에요.


4️⃣ 비율 관리 루틴 만들기

ISA는 5년 이상 장기계좌예요.
그래서 매달 매수 비율을 조정하기보다는, 6개월~1년에 한 번 정도 리밸런싱만 해도 충분합니다.

  • 비율이 너무 커진 ETF → 일부 매도
  • 비율이 줄어든 ETF → 조금 더 매수
  • 급락장에서는 비율 유지! (공포매도 금지)

ISA는 거래가 잦을수록 세금 혜택이 줄어들어요.
“가만히 두는 용기”가 수익을 만듭니다.


5️⃣ 나만의 ISA 포트폴리오 예시

   자산 종류                                                             비율예시                     ETF
글로벌 지수형 50% VT or VOO
국내 지수형 30% KODEX 200
배당형 20% SCHD or JEPI

👉 매달 20만 원 투자라면

  • 10만 원: 글로벌
  • 6만 원: 국내
  • 4만 원: 배당형
    이렇게 자동이체 설정만 해도 완벽한 ISA 루틴이 돼요.

 


타이밍보다 비율이 만든다

ISA는 단기 트레이딩 계좌가 아니라,
“꾸준함으로 복리의 힘을 누리는 절세형 계좌”입니다.

 

ETF 3개, 비율 50:30:20
이 간단한 공식만 지켜도 당신의 ISA는 매달 조금씩 성장하게 돼요.

“ISA의 수익은 운이 아니라 구조에서 나온다.”
오늘부터 당신만의 ISA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