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리 메뉴

sweetonion1 님의 블로그

ISA 계좌 송금부터 주식 매수까지 – 초보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본문

ETF & 주식 관리

ISA 계좌 송금부터 주식 매수까지 – 초보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sweetonion1 2025. 10. 23. 20:13
반응형

📊 ISA 계좌 만들었다면, 이제 ‘돈’을 넣어야 한다

ISA 계좌는 만들어 놓고 그냥 두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요.
송금이 되어야 투자 시작이 가능하죠.
그런데 여기서 많은 분들이 헷갈립니다.


“ISA 계좌로 바로 송금하면 되지 않나?”
👉 아닙니다. ISA는 직접 입금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CMA를 통해야 합니다.

ISA는 일반 통장처럼 입출금 기능이 없고, 연동된 CMA 계좌를 통해서만 자금이 이동돼요.


즉, 구조는 ‘CMA → ISA’ 로 이해하면 됩니다.

 


📊 CMA 계좌와 ISA 계좌의 차이 & 구분법

  구분                                                CMA 계좌                                                   ISA 계좌
역할 입출금용 ‘지갑’ 투자용 ‘창고’
입금 가능 여부 ✔ 가능 ❌ 직접 입금 불가
돈의 흐름 은행 → CMA → ISA CMA에서 자금 이동 필요
잔액 표시 실시간 입출금 확인 가능 투자금액·매수내역 표시
계좌번호 확인 위치 앱 홈 첫 화면에 표시 “ISA 중개형” 메뉴에서 확인

👉 쉽게 외우는 법:
“CMA는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통장,
 ISA는 그 돈이 일하는 통장!”

 

👉  대부분 증권사 앱에서는 계좌번호 맨 끝 숫자나 이름에 ‘ISA’ 표기가 있어요.
예:

  • CMA: 123-456789-01
  • ISA: 123-456789-02 (ISA 중개형)
    이렇게 구분되죠.

📊  송금 단계별 실전 가이드 (한국투자증권 기준 예시)

① CMA 계좌에 송금하기

1️⃣ 내 은행 앱(국민·신한·농협 등) 실행
2️⃣ 받는 사람 계좌번호 = CMA 계좌번호 입력
3️⃣ 금액 입력 후 이체 완료

 

👉 ISA 계좌번호로 입금하면 오류 발생!
CMA로 먼저 보내야 ISA에서 매수가 가능합니다.


② CMA에서 ISA로 자금 이동

CMA에 돈이 들어왔다면,
이제 ISA로 ‘투자 이체’를 해야 합니다.

 

1️⃣ 한국투자증권 앱 실행
2️⃣ [계좌] → [이체/입금] 메뉴 선택
3️⃣ 출금계좌: CMA, 입금계좌: ISA 선택
4️⃣ 금액 입력 → “즉시이체” 클릭

 

👉 이 과정이 바로 “지갑에서 투자 창고로 돈 옮기기”예요.
이제 ISA 잔고가 표시되면 ETF 매수가 가능해집니다.


③ 자동 이체 설정 (루틴 만들기)

매달 같은 날, 자동으로 ISA에 돈이 들어가게 만들면 투자 루틴이 완성됩니다.

 

1️⃣ “정기이체” 또는 “자동투자” 메뉴 클릭
2️⃣ 출금: CMA / 입금: ISA
3️⃣ 매월 일정일 + 금액 설정 (예: 매월 10일, 20만 원)

 

👉 이렇게 설정해두면 잊고 있어도 매달 투자금이 알아서 쌓입니다.

 


📊 ISA 계좌에서 주식·ETF 매수하기

1️⃣ ISA 탭 → “매매” 클릭 → 종목 입력 (예: KODEX 200, TIGER S&P500)
2️⃣ 주문 방식 선택

  • 지정가 주문: 내가 원하는 가격 지정 (추천)
  • 시장가 주문: 바로 체결되지만 약간 비쌀 수 있음
    3️⃣ 매수 금액 입력 → “주문” 클릭
    4️⃣ 체결 후 ‘잔고’ 탭에서 확인

이제 내 ISA 계좌에 첫 ETF 자산이 들어왔어요!

 


📊  진짜 투자가 시작되는 순간

ISA는 만들고 송금만 하면 절반, ETF를 사고 꾸준히 유지하면 완성입니다.
오늘 송금하고 ETF 한 주라도 사는 순간, 당신의 돈은 ‘절세형 복리 루틴’으로 움직이기 시작해요.

 “CMA는 돈을 보관하고, ISA는 그 돈을 성장시킨다.”

 

반응형